개발(IT)/Python(파이썬)

파이썬(Python) 기본문법 (기본 자료형)

isony 2024. 10. 12. 13:33
반응형

파이썬(Python) 기본문법 (기본 자료형)

1. 숫자 (int, float)

연산자 설명 예제 결과
a + b 숫자 a에 b 더하기 3 + 2 5
a - b 숫자 a에서 b 빼기 3 - 2 1
a * b 숫자 a에 b 곱하기 5 * 2 10
a / b 숫자 a에 b 나누기 5 / 2 2.5
a // b 숫자 a를 b로 나누어 몫 5 // 2 2
a % b 숫자 a를 b로 나누어 나머지 5 % 2 1
a ** b 숫자 a의 b 거듭제곱 3 ** 2 9

* 연자 계산 규칙

- 중복된 괄호가 있으면 안쪽 괄호부터 계산

- 같은 순위의 연산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산

- 괄호안 계산 -> 지수계산 -> 곱셈/나눗셈 계산 -> 덧셈/뺄셈 계산

 

2. 문자형 (str)

> Print("Hello World")
Hello World

> type("Hello World")
str

> "Hello" + " " + "World" + " " + "!"
"Hello World !"

> "Python" * 3
"PhthonPhthonPhthon"

> len("Python")
6

 

3. 블(bool)

1) 논리연산자

논리연사자 의미 예제 예제 설명
and 논리곱 A and B A와 B 모두 참일때만 참, 나머지는 거짓
or 논리합 A or B A와 B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, 둘다 거짓일때 거짓
not 논리부정 not A A가 참이면 거짓, A가 거짓이면 참
> print(True and False)
False

> print(True or False)
True

print(not False)
True

 

2) 비교 연산자

비교연산자 의미 예제 예제 설명
== 같다 A == B A는 B와 같다
!= 같지 않다 A != B A는 B와 같지 않다
< 작다 A < B A는 B보다 작다
> 크다 A > B A는 B보다 크다
<= 작거나 같다 A <= B A는 B보다 작거나 같다
>= 크거나 같다 A >= B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
> print(10 == 5)
False

> print(10 != 5)
True

> print(10 < 5)
False

> print(10 > 5)
True

> print(10 <= 5)
False

> print(10 >= 5)
True

 

4. 리스트(list)

1) 리스트 생성 형식

list_data = [요소1, 요소2, 요소3, ..., 요소n]

 

2) 리스트 생성하기

list_empty = []
list_num = [10, 20, 30, 40, 50]
list_str = ['Python', 'Language', 'Program', 'Test']
list_mix1 = [2.0, 2.6, '문자열1', '문자열2']
list_mix2 = [5.0, True, 'abc', list_mix1]

> print(list_empty)
[]
> print(list_num)
[10, 20, 30, 40, 50]
> print(list_str)
['Python', 'Language', 'Program', 'Test']
> print(list_mix1)
[2.0, 2.6, '문자열1', '문자열2']
> print(list_mix2)
[5.0, True, 'abc', [2.0, 2.6, '문자열1', '문자열2']]

 

3) 리스트 연산자

list_str1 = ['테스트1', '테스트2']
list_str2 = ['파이썬', '리스트']
list_str3 = list_str1 + list_str2
list_str4 = list_str1 * 2

> print(list_str3)
['테스트1', '테스트2', '파이썬', '리스트']
> print(list_str4)
['테스트1', '테스트2', '테스트1', '테스트2']

 

4) 리스트 인덱스

list_data[i]

- 리스트의 인덱스(i)는 0부터 시작합니다.

- 리스트 마지막 인덱스는 list_data[n - 1]로 지정합니다.

- 인덱스(i)가 -1이면 마지막 요소를 가리키고, -2는 마지막 인덱스 바로 앞의 요소를 가리킵니다.

list_num = [10, 20, 30, 40]

(인덱스 설명)

인덱스(i) 0 1 2 3
음수 인덱스(-i) -4 -3 -2 -1
리스트 요소(값) 10 20 30 40

 

5) 리스트 슬라이싱

list_data[start:end]
list_num = [10, 20, 30, 40, 50, 60, 70, 80, 90]

> print(list_num)
[10, 20, 30, 40, 50, 60, 70, 80, 90]
> print(list_num[0:4])
[10, 20, 30, 40]
> print(list_num[5:9])
[60, 70, 80, 90]
> print(list_num[:])
[10, 20, 30, 40, 50, 60, 70, 80, 90]
> print(list_num[:4])
[10, 20, 30, 40]
> print(list_num[5:])
[60, 70, 80, 90]

> print(20 in list_num)   # 20는 리스트에 있음 : True
True
> print(55 in list_num)   # 55는 리스트에 있음 : False
False

 

6) 리스트 메서드

list_data.method()

 

list_str = ['토마스']

리스트 메서드 설명 예제 결과
append() 리스트 끝에 요소 하나를 추가 list_str.append('고든') ['토마스', '고든']
insert() 리스트의 특정 위치에 요소를 삽입 list_str.insert(1,'퍼시') ['토마스', '퍼시', '고든']
extend() 리스트 끝에 여러요소를 추가 list_str.extend(['빌','벤']) ['토마스', '퍼시', '고든', '빌', '벤']
remove() 입력값과 첫번째로 일치한 요소를 리스트에서 삭제 list_str.remove('퍼시') ['토마스',  '고든', '빌', '벤']
pop() 리스트 마지막 요소를 제거 list_str.pop() ['토마스',  '고든', '빌']
index() 리스트에서 입력값과 일치한 첫번째 요소의 인덱스를 반환 list_str.index('빌') 2
count() 리스트에서 입력값과 일치한 요소의 개수를 반환 list_str.count('토마스') 1
sort() 숫자나 문자열로 구성된 리스트의 요소를 순방향으로 정렬. 역방향 sort(reverse=True) 를 사용 list_str.sort() ['고든', '빌', '토마스']
reverse() 리스트 요소의 순서를 역순으로 뒤집기 list_str.reverse() ['토마스', '빌', '고든']

 

 

5. 튜블(tuple)

1) 튜블(tuple) 생성 형식

tuple_data = (요소1, 요소2, 요소3, ..., 요소n)
또는
tuple_data = 요소1, 요소2, 요소3, ..., 요소n

 

2) 튜블(tuple) 사용

tuple_num1 = (0, 1, 2, 3, 4)
tuple_num2 = 5, 6, 7, 8, 9
tuple_num3 = (10,)
tuple_num4 = '테이타1',

> print(tuple_num1)
(0, 1, 2, 3, 4)
> print(tuple_num2)
(5, 6, 7, 8, 9)
> print(tuple_num3)
(10,)
> print(tuple_num4)
('테이타1',)
> print(tuple_num2[0])
5
> print(tuple_num2[0:4])
( 5, 6, 7, 8 )

 

6. 셋트(set)

1) 셋트(set) 생성 형식

set_data = {요소1, 요소2, 요소3, ..., 요소n}

 

2) 셋트(set) 사용

set_num = {10, 20, 30, 40, 50}
set_str = {'사과', '배', '오렌지', '파인애플', '귤', '귤'}

> print(set_num)
{10, 20, 30, 40, 50}
> print(set_str)
{'사과', '배', '오렌지', '파인애플', '귤'}
set_a = {0, 1, 2, 3, 4}
set_b = {3, 4, 5, 6, 7}

> print(set_a & set_b)
{3, 4}
> print(set_a | set_b)
{0, 1, 2, 3, 4, 5, 6, 7}
> print(set_a - set_b)
{0, 1, 2}

> print(set_a.intersection(set_b))   # 집합 a와 집합 b의 교집합
{3, 4}
> print(set_a.union(set_b))          # 집합 a와 집합 b의 합집합
{0, 1, 2, 3, 4, 5, 6, 7}
> print(set_a.difference(set_b))     # 집합 a와 집합 b의 차집합
{0, 1, 2}

 

 

7. 딕셔너리(dict)

 - 파이썬(Python) 기본문법 (기본 자료형) #2 에서 설명

반응형